전체 글 (322)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본론 제7화 (24.05.02) 노동 대상 ‘노동 대상’(Arbeitsgegenstand)이란 노동이 가해지는 대상, 따라서 노동을 통해서 가공되거나 변형되는 대상을 가리킨다. 이러한 노동 대상에는 ‘천연적 노동 대상’과 ‘가공된 노동 대상’이 있다. 천연적 노동 대상 우선 노동 대상 중에서 ‘천연적 노동 대상’에 대해 살펴보자. “인간을 위해 최초부터 식량 또는 생활 수단을 마련해 주고 있는 토지(경제학적 관점에서는 물도 여기에 포함된다)는 인간 노동의 일반적 대상으로서 인간의 수고 없이 존재한다. 노동에 의해 자연 환경과의직접적 연결로부터 분리된 데 불과한 물건들은 모두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노동 대상(Arbeitsgegenstand)이다. 예컨대, 그 자연 환경인 물 로부터 떨어져 나와 잡힌 물고기, 원시림에서 벌목된 원목, 광맥에.. 자본론 제6화 (24.05.01) 노동(독 : Arbeit / 영어 : labour) ‘ 노동’ 개념 맑스는 자본론 에서 노동의 의미와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노동’이란 ‘노동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노동력’(勞動力, Arbeitskraft)이 노동을 할 수 있는 잠재적 힘이라면, ‘노동’(勞動, Arbeit)은 이러한 힘을 실제로 발휘하여 외부로 표출하는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이 자본가와 노동자라는 특정한 생산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듯이, 구체적인 노동의 방식은 사회적, 역사적 조건에 따라 다양하다. 그렇지만 노동은 다른 한편으로 보편적인 인간의 삶의 활동으로서, 특정한 사회 형태와는 상관없는 보편적인 의미와 형태를 갖고 있다. 맑스는 이러한 노동의 보편적 의미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고찰한다. 인간과 .. 자본론 제5화 (24.04.30) 지불 수단 맑스는 화폐의 기능에는 이외에도 ‘지불 수단’의 기능이 있다고 말한다. “상품 유통의 발전과 더불어, 상품의 양도를 상품 가격의 실현과 시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사정들이 발생한다. [...] 어쨌든 구매자는 그 상품의 대가를 지불하기 전에 그 상품을 사는 것이다. [...] 판매자는 채권자로 되며 구매자는 채무자로 된다. 이 경우 상품의 변태 또는 상품의 가치 형태의 전개가 달라지기 때문에 화폐도 다른 하나의 기능을 획득한다. 화폐는 지불 수단으로 된다. (1권149/172)” 상품을 구매하면서 이와 동시에 화폐를 교환하게 되면 화폐는 유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상품을 외상으로 구매할 경우에는 구매자가 그 상품을 양도받기는 하였지만, 그 대가로 화폐를 당장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부처님 오신 날을 맞지하여 불화를 ~~~ 5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지하여 불심을 얻고자 하신다면 직접 그린 불화(?)입니다. 감상해 보세요. 불행을 막는데 도움이 됩니다. 자본론 제4화 (24.04.28) 화폐의 기능 맑스는 금을 화폐 상품의 대표적인 경우로 전제하여, 이러한 금이라는 화폐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맑스는 화폐가 가치 척도의 기능, 유통 수단, 축장 기능, 지불 수단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본다. 가치 척도의 기능 맑스는 화폐의 여러 기능들 중에서 우선 ‘가치 척도’의 기능에 대해 언급한다. “금의 첫째 기능은 상품 세계에 그 가치 표현의 재료를 제공한다는 점, 또는 상품들의 가치를 동일한 명칭의 크기, 즉 질적으로 동일하며 양적으로 비교 가능한 크기로 표현한다는 점에 있다. 그리하여 금은 가치의 일반적 척도로 기능하는데, 오직 이 기능에 의해서만 금이라는 특수한 등가 상품은 화폐로 되는 것이다. (1권109/120)” 모든 상품이 금이라는 화폐를 통해 자신의 가치.. 자본론 제3화 (24.04.27) 상품에 투입된 노동의 이중성 맑는 상품을 가치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거기에 사용가치와 (교환)가치가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는데, 이제 그는 이러한 상품을 노동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거기에 노동의 두 가지 측면이 있음을 주장한다. “ 처음 상품은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라는 이중성을 가진 물건으로 나타났다. 그 뒤 노동도 또한 이중성을 가지고 나타났다. (1권56/52)” 상품을 가치의 측면에서 본다면 거기에는 사용가치와 (교환)가치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품을 노동의 측면에서 본다면 거기에는 ‘구체적 유용 노동’과 ‘추상적 인간 노동’이라는 노동의 이중적 측면이 드러난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노동의 이중성을 밝힌 것은 자신의 공로라고 하면서 이것이 경제학의 이해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한다. 구체적 .. 자본론 제2화 (24.04.27) 맑스 이전에는 자본과 자본주의 근본에 대한 이론적 접근법이 없었다는 것으로 보면 자본론은 자본주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맑스는 경제 철학의 아인쉬타인과 같은 존재로 보고 쉽다. 그럼에서 대한민국에서는 그와 그의 저서를 평가절하 하거나 무지한 사람들이 대다수다. 주변에 물어보아라 ~~~그리고 공산주의자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것은 결국 후발자들의 해석으로 만들어 각인된 것으로 때문이며 특히 레닌이 이론적 배경을 채용하고 각인시켜 만들졌기 때문이다.맑스와 앵갤스는 후발 인용자들이 호도하여 만들낸 결과물로 공산주의자가 된 경우이다.이것이 확정편향의 근현대 철학의 왜곡의 결과로 대한민국에서는 각인된 것이다. 자본론의 주요 주제어 분석 자본주의 분석의 출발점으로서 상품 맑스는 자본론 에서 자본주의적 생.. 자본론 제1화 (24.04.27) 우리는 자본주의 국가에서 살아가지만 자본주의의 이론적 배경인 자본론에 대해 제대로 배우거나 공부한 적이 없는 사람들이 주변 태반일 것이다. 그리고 자본주의라고 하면 뉴스나 방송에서 내용을 자신의 것이량 수요, 공급에 따른 가격을 말하고 낙수효과를 말한다 그러나 이건 것은 전혀 현실에서 맞지도 않는 이론이며 그냥 가정에 나온 가정의 결론일 뿐이지만 다를 믿고 싶은 것만 믿는 자신을 믿는 확정 변향에 빠져 있는 상태다.80년 학창시절에 칸트와 앵겔스 그리고 쇼팬하워까지 수 많은 철학첵을 읽었다. 그리고 요즘 역주행으로 쇼팬하워가 떠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웠다.그러나 그때는 금지된 책이라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바쁘거나 잊고 있다. 중년이 된 지금에 숙제와 같은 철학책임 자본론의 공부를 시작하고자 한다.BBC에..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41 다음